아이가 열이 났을 때, 침착하게 대처하는 법
오늘은 아이가 열이 났을 때 집에서 대처법을 단계별로 정리해 드릴게요. 아이는 성인보다 체온 조절 능력이 미숙해서 열이 나는 경우가 많지만, 상황에 따라 적절히 대처하면 큰 문제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어요. 이 글에서는 아이의 체온에 따른 대처법, 해열제 교차복용 방법, 응급 상황 판단 기준 등을 작성했어요.
1. 아이 체온별 정상 범위와 대처: 37.4°C까지는 정상
아이의 체온은 성인보다 조금 높게 설정되어 있어요.
- 37.4°C까지는 정상 범위: 아이는 체온 조절이 미숙해 성인(36.5~37.2°C)보다 체온이 높아요. 37.4°C까지는 정상으로 보고, 평소와 다르게 보채거나 아픈 기색이 없으면 괜찮아요.
- 대처법: 아이가 평소와 다름없이 잘 놀고 밥도 잘 먹는다면 큰 걱정은 하지 않아도 돼요. 다만, 체온계로 주기적으로 체크하며 상태를 관찰하세요.
2. 미열 상태 (37.5~37.9°C): 감기 기운 관찰
체온이 37.5~37.9°C일 경우 미열로 판단해요.
- 이 단계에서는 감기나 가벼운 바이러스 감염일 가능성이 높아요. 아이가 기침을 하거나 콧물을 흘리는지, 평소보다 졸리거나 보채는지 관찰이 필요해요.
- 대처법:
- 수분 보충: 따뜻한 물이나 보리차를 자주 소량씩 먹여 탈수를 예방하세요.
- 체온 유지: 집에서도 맨발로 다니지 않게 양말을 신기고, 얇은 이불로 덮어 따뜻하게 유지하세요.
- 상태 체크: 미열이 심해질 수 있으니 2~3시간 간격으로 체온을 측정하며 아이의 컨디션을 계속 확인하세요.
미열 단계에서는 과도한 걱정보다는 관찰과 보온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해요!

3. 발열 상태 (38.0~38.9°C): 해열제와 손발 온도 체크
체온이 38.0~38.9°C일 경우 발열로 판단하며,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해요.
- 이 단계에서는 해열제를 사용하며 체온 변화를 면밀히 관찰해야 해요. 아이의 손발 온도도 중요한 지표예요.
- 대처법:
- 해열제 사용: 아세트아미노펜(타이레놀 등)과 이부프로펜/덱시부로펜(부루펜 등)을 교차복용하세요.
- 교차복용 방법:
- 먼저 아세트아미노펜(체중 1kg당 10~15mg)을 4~6시간 간격으로 투여. 예: 10kg 아이라면 100~150mg.
- 2~3시간 후 체온이 38.5°C 이상이면 이부프로펜(체중 1kg당 5~10mg)을 투여. 예: 10kg 아이라면 50~100mg.
- 이후 4~6시간 간격으로 두 약을 번갈아가며 사용. 예: 8시 아세트아미노펜 → 11시 이부프로펜 → 2시 아세트아미노펜.
- 하루 최대 복용량(아세트아미노펜 75mg/kg, 이부프로펜 40mg/kg)을 넘기지 않도록 주의하세요.
- 교차복용 방법:
- 체온 체크: 2시간 간격으로 체온을 측정해 열이 떨어지는지 확인하세요.
- 손발 온도 확인:
- 손발이 차가울 경우: 체온이 더 올라갈 수 있으니 얇은 담요로 감싸거나 옷을 입혀 따뜻하게 해주세요.
- 손발이 따뜻하거나 뜨거울 경우: 열이 내려갈 가능성이 있으니 손발이 차갑지 않게 유지하며 상태를 체크하세요.
발열 단계에서는 해열제와 함께 아이의 상태를 세심히 관찰하는 것이 중요해요!
- 해열제 사용: 아세트아미노펜(타이레놀 등)과 이부프로펜/덱시부로펜(부루펜 등)을 교차복용하세요.
4. 고열 상태 (39.0°C 이상): 응급 상황 대비
체온이 39.0°C 이상일 경우 고열로 판단하며, 신속한 대처가 필요해요.
- 고열 상태에서는 단순 감기가 아닐 가능성이 높아요. 바이러스 감염(인플루엔자, 로타바이러스), 세균 감염(폐렴, 요로감염), 또는 염증 수치 증가(예: 크룹, 중이염)가 원인일 수 있어요.
- 대처법:
- 해열제 교차복용: 앞서 설명한 교차복용을 필수로 진행하세요.
- 체온 낮추기: 몸이 심하게 뜨거우면 얇은 옷으로 갈아입히고,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이마, 목, 겨드랑이, 사타구니를 닦아 체온을 낮추세요(찬물은 피하세요).
- 응급 상황 판단:
- 아이가 숨이 가파르고 힘들어하거나, 졸림이 심해 반응이 느려지면 즉시 응급실로 가세요.
- 39°C 이상이 30분~1시간 지속되면 고민하지 말고 응급실로 이동하세요.
- 밤/새벽 주의: 아이는 바이러스나 질병으로 열이 날 때 주로 밤이나 새벽에 체온이 급등해요. 이 시간대에 특히 주의 깊게 관찰하세요.
고열 단계에서는 90% 이상이 단순 감기가 아니므로, 빠른 병원 방문이 중요해요!

5. 추가 팁: 아이 발열 시 부모가 알아둘 점
아이 발열 시 부모가 침착하게 대처하기 위한 추가 팁이에요.
- 수분 보충 필수: 열이 나면 탈수 위험이 높아지니 물, 보리차, 이온음료(포카리스웨트)를 소량씩 자주 주세요.
- 환경 조절: 방 온도를 22~24°C로 유지하고, 통풍이 잘 되게 하세요.
- 옷 조절: 체온에 따라 얇거나 따뜻한 옷을 조절하세요. 과도하게 껴입히면 체온이 더 올라갈 수 있어요.
- 응급실 방문 준비: 응급실 갈 때 아이의 체온 기록, 증상(구토, 설사 여부), 복용한 약을 메모해 의사에게 전달하세요.
- 해열제 주의: 해열제는 체온이 38.5°C 이상일 때 사용하며, 과다 복용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.
아이 발열은 부모에게 큰 스트레스지만, 침착하게 대처하면 아이를 더 안전하게 지킬 수 있어요!

아이 발열, 단계별 대처로 건강 지키기!
아이가 열이 났을 때는 체온에 따라 침착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해요. 37.4°C까지는 정상, 37.5~37.9°C는 미열로 관찰하며 보온과 수분 보충을, 38.0~38.9°C는 발열로 해열제 교차복용과 손발 온도 체크를, 39.0°C 이상은 고열로 응급 상황에 대비하세요. 특히 고열이 30분~1시간 지속되거나 숨 가쁨, 졸림 같은 증상이 있으면 바로 응급실로 가세요. 아이 건강을 위해 부모님들이 꼭 알아두시면 좋을 대처법이에요!